"자동차는 일생의 96%를 주차된 상태로 시간을 허비해요. 차를 빌려줄 수 있다면 차주는 돈을 벌고, 이웃 주민은 믿을 수 있는 차를 값싸고 편하게 쓸 수 있게 됩니다."
“저 많은 차를 이웃 간에 필요할 때만 공유할 수는 없을까?”
개인 간 차량공유 서비스 ‘타운카’의 운영사인 ㈜타운즈가 11억 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30일 밝혔다.
최윤진 타운즈 공동대표는 타운카 서비스를 준비하는 동안 주변에서 ‘누가 차를 빌려주겠냐. 차는 빌려주는 게 아니다’라는 우려를 종종 들었다. 하지만 그는 단호한 어조로 “에어비앤비가 처음 출시될 때도 그런 반응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세계적인 숙박 공유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는 말로 타운카 성공을 자신했다.
아파트 단지 이웃끼리 차를 공유하는 ‘자동차판 에어비앤비’가 나온다. 한국타이어의 사내 벤처 1호 기업인 타운즈는 최근 대한상공회의소 샌드박스지원센터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아파트 단지 기반의 차량 중개 서비스(타운카)에 대한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승인받고, 경기도 하남에서 시범 사업을 시작한다고 12일 밝혔다.
한국타이어는 사내 벤처 1호 '타운즈'의 개인 간 차량공유 중개 플랫폼인 '타운카'가 대한상공회의소 샌드박스지원센터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ICT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승인받았다고 오늘(12일) 밝혔습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사내 벤처 1호인 ‘타운카(Towncar)’가 대한상공회의소 샌드박스지원센터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ICT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주차장에 세워둔 차량을 빌려주고 돈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8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샌드박스지원센터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ICT 샌드박스 심의위원회’를 열고 이웃 간 유휴차량 대여중개 플랫폼에 대해 실증특례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모빌리티 서비스 범위가 확대된다. 아파트 이웃에게 차량을 빌려주고 수입을 얻을 수 있게 되고 국가나 지자체만 가능했던 교통약자 이동서비스를 민간에서도 할 수 있게 됐다.
같은 아파트에 거주하는 이웃에게 차를 빌려주고 ‘렌트비’를 받을 수 있는 ‘자동차판 에어비앤비’ 사업이 가능해진다. 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만 할 수 있던 교통약자를 위한 병원 동행 서비스가 민간에도 개방된다.